수학(mathematics)에서, 극한(limit)은 입력 또는 인덱스가 어떤 값에 "접근할" 때 함수(function) (또는 수열(sequence))가 "접근하는" 값입니다. 극한은 미적분 (및 일반적으로 수학적 해석학(mathematical analysis))에서 필수적이고 연속성(continuity), 도함수(derivative), 및 적분(integral)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열의 극한(limit of a sequence)의 개념은 토폴로지적 네트(topological net)의 극한의 개념으로 더욱 일반화되고, 카테고리 이론(category theory)에서 극한(limit) 및 직접 극한(direct limit)과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공식에서, 함수의 극한은 보통 다음으로 쓰입니다:
\(\quad\)\(\displaystyle \lim_{x \to c} f(x) = L,\)
그리고 "x가 c로 접근할 때 x의 f의 극한은 L과 같습니다"로 읽습니다. 함수 f는, x가 c로 접근할 때, 극한 L에 접근한다는 사실은, 다음에서 처럼, 오른쪽 화살표 (→)로 때때로 표시됩니다:
\(\quad\)\(f(x) \to L \text{ as } x \to c.\)
Limit of a function
f가 실수-값 함수(real-valued function)이고 c가 실수라고 가정합니다. 직관적으로 말하면, 표현
\(\quad\)\(\displaystyle \lim_{x \to c}f(x) = L \)
은 f(x)는 x를 c에 충분히 가깝게 만듦으로써 원하는 만큼 L에 가깝게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해당 경우에서, 위의 방정식은 "x의 f의 극한은, x가 c에 접근할 때, L입니다"로 읽힐 수 있습니다.
카를 바이어슈트라스(Karl Weierstrass)에 뒤를 이어, 1821년 오귀스탱-루이 코시(Augustin-Louis Cauchy)는 극한의 (ε, δ)-정의로 알려지게 되는 함수의 극한의 정의를 공식화했습니다. 정의는, "f(x)가 L에 임의로 가깝게 된다"는 것은 f(x)가 결국 구간 (L − ε, L + ε)에 놓이며, 이것이 |f(x) − L| < ε일 때 절대 값 기호를 사용하여 역시 쓰여질 수 있음을 의미하도록, 임의의 작은 양수를 나타내기 위해 (소문자 그리스 문자 엡실론) ε을 사용합니다. 어구 "x가 c로 접근할 때"는 그런-다음, 우리가 c로부터 그의 거리가 어떤 양의 숫자 (소문자 그리스 문자 델타) δ 보다 작은 x의 값—즉, 0 < |x − c| < δ와 함께 표현될 수 있는, (c − δ, c) 또는 (c, c + δ) 둘 중 하나 안에 x의 값을 참조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첫 번째 부등식은 x와 c 사이의 거리가 0보다 크고 x ≠ c임을 의미하지만, 두 번째 것은 x가 c의 거리 δ 안에 있음을 가리킵니다.
극한의 위의 정의는 비록 f(c) ≠ L일지라도 참입니다. 실제로, 함수 f는 c에서 심지어 정의될 필요도 없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quad\)\(\displaystyle f(x) = \frac{x^2 - 1}{x - 1} \)
이면, f(1)은 정의되지 않고 (불확정 형식(indeterminate forms)을 참조하십시오), 여전히 x가 1에 임의로 가깝게 움직일 때, f(x)는 그에 상응하여 2에 접근합니다:
\(f(0.9)\) | \(f(0.99)\) | \(f(0.999)\) | \(f(1.0)\) | \(f(1.001)\) | \(f(1.01)\) | \(f(1.1)\) |
1.900 | 1.990 | 1.999 | undefined | 2.001 | 2.010 | 2.100 |
따라서, f(x)는 단지 x를 1에 충분히 가깝게 만듦으로써 2의 극한에 임의로 가깝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달리 말해서, \(\displaystyle \lim_{x \to 1} \frac{x^2-1}{x-1} = 2 \)입니다.
이것은, 모든 실수 x ≠ 1에 대해 \(\displaystyle \frac{x^2-1}{x-1} = \frac{(x+1)(x-1)}{x-1} = x+1\)에서 처럼, 대수적으로 역시 계산될 수 있습니다.
이제 x + 1은 1에서 x의 연속이기 때문에, 우리는 x에 대해 1을 바로 대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displaystyle \lim_{x \to 1} \frac{x^2-1}{x-1} = 1+1 = 2\)입니다.
유한 값에서의 극한 외에도, 함수는 무한대에서 극한을 역시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을 생각해 보십시오:
\(\quad\)\(\displaystyle f(x) = {2x-1 \over x}\)
- \(f(100)=1.9900\)
- \(f(1000)=1.9990\)
- \(f(10000)=1.9999\)
x가 매우 커짐에 따라, f(x)의 값은 2에 접근하고, f(x)의 값은, 우리가 단지 x를 충분히 크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만큼 2에 가깝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경우에서, f(x)의 극한은, x가 무한대로 접근할 때, 2입니다. 수학적 표기법에서,
\(\quad\)\(\displaystyle \lim_{x \to \infty} \frac{2x-1}{x} = 2. \)
Limit of a sequence
다음 수열을 생각해 보십시오: 1.79, 1.799, 1.7999,... 그것은 숫자가 1.8, 수열의 극한에 "접근하는 것"임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공식적으로, \(a_1,a_2,\cdots\)는 실수(real number)의 수열(sequence)임을 가정해 보십시오. 그것은 실수 L이 이 수열의 극한임을 말할 수 있습니다. 즉:
\(\quad\)\(\displaystyle \lim_{n \to \infty} a_n = L \)
이것은 다음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 "\(a_n\)의 극한은 n이 무한대에 접근할 때 L과 같습니다"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각 실수(real number) \(\epsilon > 0\)에 대해, 모든 \(n > N\)에 대해, 우리가 \(|a_n-L| < \epsilon\)을 가지는 것을 만족하는 자연수(natural number) \(N\)이 존재합니다.
직관적으로, 이것은 결국 수열의 모든 원소가 극한에 임의로 가까워짐을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절댓값(absolute value) \(|a_n-L|\)은 \(a_n\)과 \(L\) 사이의 거리이기 때문입니다. 모든 각 수열이 극한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만약 극한을 가지면, 그것은 수렴(convergent)으로 불리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발산(divergent)입니다. 우리는 수렴하는 수열은 오직 하나의 극한을 가짐을 보일 수 있습니다.
수열의 극한과 함수의 극한은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다른 한편으로, \(n\)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수열 \(a(n)\)의 극한은 단순히 자연수(natural number) \(n\) 위에 정의된 함수 \(a(n)\)의 무한대에서 극한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X\)가 함수 \(f(x)\)의 도메인이면 및 만약 \(n\)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함수 \(f(x_n)\) 극한이, \(x_0\)에 수렴하는 \(\{X-\{x_0\}\}\) 안의 점 \(\{x_n\}\)의 모든 각 임의의 수열에 대해, \(L\)이면, 함수 \(f(x)\)의 극한은 \(x\)가 \(x_0\)에 접근할 때 \(L\)입니다. 하나의 그러한 수열은 \(\{x_0+1/n\}\)일 것입니다.
Limit as "standard part"
비-표준 해석학(non-standard analysis)에서 (이것은 숫자 시스템의 초실수(hyperreal) 확대를 포함합니다), 수열 \((a_n)\)의 극한은 무한 초자연수(hypernatural) 인덱스 n=H에서 수열의 자연수 확장의 값 \(a_H\)의 표준 부분(standard part)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quad\)\(\displaystyle \lim_{n \to \infty} a_n = \operatorname{st}(a_H) \).
여기서 표준 부분 함수 "st"는 각 유한 초실수를 가장 가까운 실수로 반올림합니다 (그들 사이의 차이는 무한소(infinitesimal)입니다). 이것은 인덱스의 "매우 큰" 값에 대해, 수열 안의 항이 수열의 극한 값에 "매우 가깝게" 된다는 자연스러운 직관을 공식화합니다. 반대로, 코시 수열 \((a_n)\)에 의해 극단-거듭제곱(ultrapower) 구성에서 표현되는 초실수 \(a=[a_n]\)의 표준 부분은 단순히 해당 수열의 극한입니다:
\(\quad\)\(\displaystyle \operatorname{st}(a)=\lim_{n \to \infty} a_n \).
이런 의미에서, 극한을 취하고 표준 부분을 취하는 것은 동등한 절차입니다.
Convergence and fixed point
수렴의 공식적인 정의는 다음으로 말해질 수 있습니다. \({ {p}_{n} }\)은, \(n\)이 \(0\)에서 \(\infty\)로 갈 때, 모든 \(n\)에 대해 \({p}_{n} \neq p\)을 갖는, \(p\)에 수렴되는 수열로 가정합니다. 만약 양의 상수 \(\lambda\)와 \(\alpha\)가
\(\displaystyle \lim_{n \rightarrow \infty } \frac{ \left | { p}_{n+1 } -p \right | }{ { \left | { p}_{n }-p \right | }^{ \alpha} } =\lambda \)
와 함께 존재하면, \( { {p}_{n} } \)은, \(n\)이 \(0\)에서 \(\infty\)로 갈 때, 점근 오류 상수 \(\lambda\)와 함께, 차수 \(\alpha\)의 \(p\)에 수렴합니다.
고정된 점 \(p\)와 함께 함수 \(f\)가 주어지면, 수열 \(p_n\)의 수렴을 검사하는 것에 대해 좋은 검사목록이 있습니다.
1) 먼저 p가 실제로 고정된 점인지 검사하십시오:
\(\quad\)\( f(p) = p \)
2) 선형 수렴에 대해 검사하십시오. \(\left | f^\prime (p) \right | \)를 찾는 것으로 시작하십시오. 만약....
\(|f'(p)| \in (0,1)\)이면, | 선형 수렴이 있습니다. |
\(|f'(p)| > 1\)이면, | 급수는 발산합니다. |
\(|f'(p)| = 0\)이면, | 적어도 선형 수렴 및 아마도 더 나은 것이 있으며, 표현은 이차 수렴에 대해 반드시 점검되어야 합니다. |
3) 만약 그것이 선형보다 더 나은 것이 있는 것으로 발견되면, 표현은 이차 수렴에 대해 반드시 검사 되어야 합니다. \(\left | f^{\prime\prime} (p) \right | \)을 찾는 것으로 시작하십시오. 만약....
\(|f''(p)| \neq 0\)이면, | \(f''(p)\)이 연속인 것에서 제공되는 이차 수렴이 있습니다. |
\(|f''(p)| = 0\)이면, | 심지어 이차 수렴보다 더 나은 것이 있습니다. |
\(|f''(p)|\)이 존재하지 않으면, | 선형보다 낫지만 이차는 아닌 수렴이 있습니다. |
Computability of the limit
극한이 계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수렴의 모듈러스(modulus of convergence)가 결정될-수-없는(undecidable) 극한 표현이 존재합니다. 재귀 이론(recursion theory)에서, 극한 보조-정리(limit lemma)는 극한을 사용하여 결정될-수-없는 문제를 인코딩할 수 있음을 입증합니다.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