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Player는 Qt에 의해 제공된 GUI 위젯을 사용하는 MPlayer와 Mplayer 포크에 대해 교차-플랫폼 그래픽 프런트-엔드입니다. SMPlayer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버전 2 또는 그 이후의 조건이 적용되는 자유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SMplayer는 30개 이상의 언어로 현지화되었습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해 온 비디어 플레이어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한글 자막을 경우에 따라 잘 표시해 주지 않는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대안으로 VLC media player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VLC media player와 이것의 기본 설정의 중요한 차이점은 Hardware decoding에 있습니다. VLC는 기본으로 이 설졍이 켜져 있고, SMPlayer는 꺼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 설정의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기 어려거나 알아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어서 이 설정을 켜고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은 이 옵션을 켬으로써, cpu 사용량이 1/5 정도로 줄기 때문에, 기본 설정 아래에서 VLC media player가 훨씬 좋은 플레이어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놀랍게도, SMPlayer에서 이 옵션을 켜면, VLC media player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cpu 사용량을 보입니다.
더구나, VLC media player는 사용자의 편의를 대체로 잘 제공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비디어와 자막을 선택하고, 일부 시청 후에 다시 그 파일을 선택하면, 마지막 시청 시점과 자막이 표시되기를 원하지만, VLC media player는 특정 방법을 통해 자막을 열지 않으면, 자막이 로드되지 않기 때문에, 새롭게 자막을 열어줘야 합니다. 게다가, 그 특정 방법은 보통 가장 우선시 되는 파일 선택 방법이 아닐 수 있는데, 왜냐하면 몇 단계를 거쳐야 그런 방법으로 파일을 열 수 있기 때문입니다.
Installations
데비안 저장소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smplayer
데비안 패키지 정보를 확인하고, 메뉴얼 페이지를 확인하십시오.
Ubuntu
우분투에서, 좀 더 최신 버전을 설치하고 싶다면, PPA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sudo add-apt-repository ppa:rvm/smplayer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smplayer smtube smplayer-themes smplayer-skins
Configurations
간혹 어떤 설정을 해도 오디오가 출력되지 않는 파일이 생깁니다. 버그로 인한 경우가 있겠지만, 현재 설정에서 어느 부분이 문제가 되는지 알 우 없을 때에는 설정을 초기화하고 싶을 것입니다.
- cd ~
- rm -rf .config/smplayer
한글 자막 표시
Options->Preferences->Subtitles->Subtitles
- Default subtible encoding: Korean charset (CP949)
- Use the ASS library
- Freetype support
Options->Preferences->Subtitles->Font and colors
- Font : 설치된 한글 폰트
External links
- Media related to SMPlayer at Wikimedia Commons
- Official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