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리눅스 한글 입력기

by 다움위키 2023. 11. 2.

Wayland에서는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다음 글을 참조하십시오.

https://dawoum.tistory.com/entry/리눅스 한글 입력기 (Wayland 편)

 

컴퓨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 한글 입력기가 필요합니다. 리눅스 배포판마다 기본으로 설치되는 입력기가 있지만, 설치 후에 바로 한글 입력이 가능한 경우는 드뭅니다.
배포판의 설치 후에, 바로 한글 입력이 가능하려면, 적어도 언어를 한국어(Korean)로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배포판은 설치 시에 한국어(Korean)를 선택하더라도 별도로 설정을 해야 한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배포판이 기본으로 제공하는 데스크탑 환경에 따라 한글 입력기 설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입력기는 사용 당시 일부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현재 문제가 남아 있는지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snapd와 flatpak 아래에 설치된 프로그램들도 ibus에서 한글 입력이 입력될 가능성이 있고, 나머지에서는 지원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입력기에서 입력이 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ibus와 해당 입력기가 동시에 동작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글 입력기 문제들 보고 장소

한글 입력기를 사용하면서, 만날 수 있는 문제는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미 보고된 내용 외에도 문제가 있는 분들은 같은 장소에 내용을 기록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kime

한글 입력기(Korean ime)를 줄여서 만든 kime은 Rust로 작성되었습니다. 아래에서 소스를 볼 수 있습니다:

개별적인 설정을 수정 또는 추가하기 위해, 패키지에서 제공된 설정 파일을 사용자 설정으로 복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 mkdir -p ~/.config/kime
  • cp /usr/share/doc/kime/default_config.yaml ~/.config/kime/config.yaml

예를 들어, 한/영 전환이 기본적으로 오른쪽 Alt로 동작하는 것을 ⇧ Shift+Space로 바꾸고 싶을 때에는 global_hotkeys:에서 Super-Space 문단, 6줄을 복사하고, 바로 위에 추가한 후, Super-SpaceS-Space로 바꿈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nimf

코드를 거의 대부분 작성한 주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완전히 버림으로써, 하모니카 OS 개발 팀에서 그 이후로 관리를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환경 변수 설정

님프를 설치하신 후, nimf-settings를 실행하셔서 환경 변수 설정 옵션을 켜주세요. 만약 다른 입력기를 사용하시려면 환경 변수 설정 옵션을 반드시 꺼주셔야 합니다.

  • im-config -n nimf

그러고 나서 다시 로그인하시면 nimf를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그놈 설정에서, 입력기를 nimf로 바꾸고, 입력기는 영문 입력기 하나를 추가하고, 다른 한글 입력기는 제거해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끝글자 사라짐 등의 현상이 있으면, GTK+, Qt4, Qt5에서 Reset when clicking the mouse button을 켜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현재 사용하는 설정입니다. 개별적인 기능을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별도의 조사가 필요합니다.

  • Nimf: Hotkeys (<Shift> space, Alt_R)
  • GTK+: 두 선택사항 모두 on
  • Qt5: 유일한 한 개의 선택사항 on
  • Korean (libhangul): Active engine, Use a rule composing double consonants, Input method (Dubeolsik), Hotkey for Hanja (Hangul_Hanja), Ignore rest() in a commit callback, Shortcuts to switch to Korean (Hangul), Shorcuts from Korean to system keyboard (Hangul)

문제점

크로미엄에서 어떤 경우에, 마침표 또는 쉼표를 입력한 후에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마지막 단어 전부가 사라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장점

데스크탑 환경은 그놈, KDE, 등을 많이 이용합니다. 한글 입력이 가능한 입력기는 몇 개가 있지만, 상황에 따라 입력기 설정이 매우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어쨌든, 컴파일이 제대로 되고, 설치가 되면, 그놈과 KDE에서는 추가적인 작업 없이 한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ibus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한글 입력기이지만, 설치와 함께 한글 입력이 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다음의 패키지를 설치해야 한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 sudo apt install ibus-hangul

설정

우분투 그놈의 오른쪽 위의 맨 마지막 파워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상자에서 아래쪽의 세 개의 아이콘(도구, 자물쇠, 파워) 중에 제일 앞에 것을 누릅니다. 또는 윈도우+a를 누르면, 검색 창이 나오며, Settings를 입력해서 나오는 결과를 실행합니다.
Region & Language를 선택해서 Input Sources에서 +를 누릅니다. 여기서 Korean을 누르면, 나오는 창에서 Korean (Hangul)을 선택하고, Add를 누릅니다. 빠져나온 창에서 해당 입력기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선택해서 –를 눌러서 전부 제거해 버립니다. 만약 입력기 창에서 Korean (Hangul)이 보이지 않으면, 재 로그인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점

미디어위키 작업 시에 구글 크롬과 크로미엄에서 한글 입력 후에 Space를 입력하면 한글 입력이 사라져 버립니다.

fcitx

우분투에서 다음으로 고려되는 것은, 아마도 설정이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fcitx입니다. 다음과 같이 설치합니다.

  • sudo apt install fcitx-hangul fcitx-config-gtk

설정

위에서 처럼, Settings를 실행해서 Region & Language를 선택합니다. Manage Installed Languages를 누릅니다.
Language 탭에서 맨 아래쪽에 Keyboard input method system:옆의 드롭-다운 상자에서 fcitx를 선택합니다.
이제 입력기를 선택하기 위해서 fcitx-configtool을 터미널 창에 입력하거나 윈도우+a를 눌러서 검색해서 실행합니다. Input Method 탭에서 맨 아래의 +를 눌러서 입력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 입력기가 보이지 않으면, 재 로그인 또는 시스템 재시작을 해야 합니다.
위의 방법으로 절대 입력기가 바뀌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때에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작업하십시오:

  • im-config -n fcitx
  • reboot

Input Method 탭에서 맨 아래의 +를 눌렀을 때 입력기가 보이면, 검색 창에 Hangul을 입력해서 해당하는 입력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Keyboard-English(US)도 추가적으로 선택합니다. Global Config 탭에서 HotkeyTrigger Input Method를 앞에서 ⇧ Shift+Space 키를 선택하고, 뒤에는 한/영 키를 선택합니다.

문제점

이상하게도 gvim, gedit 등에서 한글 입력기가 동작하지 않고, 또한 ibus와 마찬가지로 크롬과 크로미엄에서 미디어위키 본문 입력창에서 한글을 입력할 때 문제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uim

우분투 18.10에서, 다음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입력기는 배포판에서 기본으로 잘 선택은 하지 않지만, uim 입력기입니다.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uim uim-byeoru

설정

Settings를 실행해서, Region & Language 탭에서 Manage Installed Languages를 선택합니다.
Language 탭에서 맨 아래쪽에 Keyboard input method system:옆의 드롭-다운 상자에서 uim을 선택하고, Apply System-Wide를 눌러줍니다.
터미널 창에서 uim-pref-gtk를 입력하거나, 윈도우+a를 눌러서 검색 창에 Input Method를 입력해서 실행합니다.
위의 방법으로 절대 입력기가 바뀌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때에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작업하십시오:

  • im-config -n uim
  • reboot

Global settings 탭에서 Specify default IM을 선택하고, Default input method 옆의 드롭-다운 메뉴에서 Byeoru를 선택합니다.
Toolbar 탭에서 Display behaviorNever로 바꿉니다. 기본값 Always는 화면에 3개의 아이콘이 포함된 상자가 생깁니다.
Byeoru key bindings 1 탭에서 [Byeoru] on[Byeoru] off에서 "<Shift>space"가 보일 것입니다. 여기에 한/영 키도 입력기 전환에 사용하도록 추가해 줍니다. 옆의 Edit...을 눌러서, Key: 옆의 빈칸에서 마우스 왼쪽 클릭을 한 후에, 한/영 키를 선택해 줍니다. 아마도 hangul로 입력될 것이며 Add를 활성화될 것이므로, 눌러 줍니다.
만약 입력기가 동작하지 않으면, 시스템을 재시작해야 합니다. 우분투 18.10에서는 재 로그인으로는 uim 입력기가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문제점

크로미엄 또는 크롬에서 여전히 버그가 존재합니다.

Xfce

Menu->Settings->Language Support를 실행합니다. 추가 패키지를 설치하면, noto-cjk 폰트도 설치됩니다. Keyboard input method system:에서 uim을 선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