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정식은 무수히 많은 해를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식을 만족하는 몇 개의 해를 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반면에 부등식은 어떤 경계를 시작점으로 방향이 결정되고, 구간이나, 이상, 이하가 모두 해가 되는데, 방정식과 비교해서, 부등식도 몇 개의 해를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무수히 많은 해를 갖는 구간을 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삼각 부등식도 마찬가지로 삼각 방정식의 해를 구한 후, 방향을 결정하고, 정의역으로부터 동경이 가질 수 있는 구간을 구하는 과정으로 해를 결정합니다.
한편, 이차부등식은 식 자체를 이해해서 접근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위치 관계처럼 그래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생각하기 편할 수 있습니다. 역시 삼각부등식도 단위 원에서 방정식을 푼 것처럼, 단위 원에서 부등식을 풀 것입니다.
기본 형태
문제:
해설: 삼각방정식
이로부터 부등식의 해는 다음의 과정으로 풀 수 있습니다.

먼저 제 3사분면의 동경은 시계 방향으로 움직일 때, 부등식을 만족합니다. 다음으로, 제 4사분면의 동경은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일 때, 부등식을 만족합니다. 그래서, 두 방향의 공통부분이 부등식을 만족하는 전체 범위입니다.
또한, 방정식과 마찬가지로 부등식의 해도 정의역의 시작점부터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좀 더 간단히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인 함수는 제 1, 2사분면이 양수이므로, 부등식을 만족합니다. 따라서, 방정식을 만족하는 동경이 제 1,2사분면을 포함하도록 결정해야 합니다.
한편, 정의역
코사인 함수도 사인 함수와 같은 방법으로 부등식의 해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탄젠트 함수는 분수함수이므로, 분모가 0이 되는 경우가 점근선이 되어, 사인이나 코사인 함수와는 부등식의 해를 구할 때, 조금 다릅니다.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탄젠트 부등식
문제:
해설: 탄젠트 부등식을 풀기 위해, 방정식을 먼저 풀어야 합니다.
삼각방정식
물론, 해를 찾을 때에는 정의역에 따라, 해를 찾아야 합니다. 정의역이 양의 방향(반시계)으로 한 바퀴 안이므로, 다음과 같이 2개의 해를 가집니다.
![]() |
![]() |
부등식은,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점근선을 건너가지는 못하는데, 그 부분은 코사인이 0의 값을 가지는
그리고, 탄젠트가 1보다 커야 하므로, 탄젠트의 값이 음의 값을 가지는 제 2,4사분면으로 동경이 가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이차 삼각방정식
문제:
해설: 삼각 함수가 같은 것으로 맞추어졌기 때문에,
여기서
주어진 영역에서,
이므로,
따라서,
응용예제
응용예제1
함수
응용예제2
응용예제3
이 실근을 갖지 않도록 하는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