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고등학교) 무리수 e와 자연로그

by 다움위키 2023. 11. 4.

등비수열의 극한에서, 초항이 1일 때, 그의 공비가 1보다 큰 숫자는 발산하고, 공비가 1인 숫자는 1로 수렴하고, 1보다 작은 양수는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또한, 함수의 극한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닌 경우에 대해,

limx1+0x=limx10x=1(1)

이때, 두 사실로부터 의문이 생깁니다.

공비가 1보다 조금이라도 유한하게 큰 숫자를 무수히 많이 곱하면, 그 값은 무한대로 발산하는데, 1에 접근하는 숫자가 유한하게 큰 숫자가 아니라, 1보다 무한소만큼 큰 숫자에 대해, 이것을 무수히 많이 곱하면, 과연 그의 극한은, 등비수열처럼 무한대로 발산할지, 아니면 위의 식 (1)에서 산술적으로 1에 접근하므로, 1을 무수히 많이 곱하는 경우가 되어 1로 접근할지, 또는 새로운 결과가 나올지 의문이 듭니다.

이 의문에 대한 답이 무리수 e입니다.

무리수 e

전자 계산기 또는 컴퓨터가 발명되기 전에는 직접 손으로 계산을 해서 그 결과를 얻었습니다. 1보다 무한소만큼 큰 숫자를 무수히 많이 곱하는 경우에 대해, (1+x)1x의 수식을 사용해서, 점진적으로 숫자는 작아지고 지수는 크게 함으로써, 그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x=1일 때, (1+1)1=2

x=0.1일 때, (1+0.1)10=2.59374

x=0.01일 때, (1+0.01)100=2.70481

x=0.001일 때, (1+0.001)1000=2.71692

이 과정을 계속하면, 어떤 숫자에 접근하는데, 그 숫자는 전에 알려지지 않은 무리수입니다. 오일러 이전에 이 숫자는 알려져 있었지만, 오일러가 자연로그의 밑을 이 숫자로 사용하면서 처음 e를 사용했고, 그 이후로 이것이 표준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무리수 e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limx0(1+x)1x=limn(1+1n)n=e

여기서 e=2.7182의 무리수입니다. 

무리수 e의 정의는 부호가 맞아야 합니다. 즉, 1의 무한소만큼 큰 숫자를 무한히 많이 곱하는 경우로써, 1의 무한소만큼 작은 숫자를 무한히 많이 곱하는 것은 e수렴하지 않습니다. 이 결과는

limx0(1x)1x=limx0(1x)(1x)(1)=limt0{(1+t)1t}(1)=e1

따라서, 무리수 e(1+0), (10)와 같은 꼴이고, (1+)와 같이 표시했을 때, ×=1와 같이 서로 역수 관계여야 합니다.

한편, 주어진 식이 무리수 e의 꼴이고, 상수가 곱해져 있는 경우에서,

limx0(1+2x)13x=limx0(1+2x)12x23=e23

따라서, 주어진 식이 무리수 e의 꼴이고, 상수가 곱해져 있는 경우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limx0(1+)=e×

자연로그

무리수 e를 밑으로 하는 로그 logex를 x의 자연로그라고 하며, 기호로 lnx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자연로그는 로그의 일종이므로, 로그의 성질을 따릅니다.

e를 이용한 지수함수, 로그함수의 극한

무리수 e의 정의에 대해, 양쪽 변을 밑수 e를 취한 후에, 그의 극한

limx0ln(1+x)1x=lne

에 대해, 식을 조작하면,

limx0ln(1+x)x=1(2)

식 (2)에서 로그의 밑이 e가 아니라, 다른 상수일 경우에 대해, 밑 변환의 성질을 적용한 후, 식 (2)의 결과를 이용하면,

limx0loga(1+x)x=limx01lnaln(1+x)x=1lna(3)

식 (2), (3)의 왼쪽 변의 극한은 부정형 00꼴이므로, 로피탈의 규칙을 적용해서 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식 (2)는 e의 정의식 양쪽 변에 로그를 취함으로써, 역수 관계에 있던 지수가 곱해지면서, 1에 더해지는 문자가 분모에 위치합니다. 이때, 역수 관계 식에서 실수배가 이루어지면,

limx0ln(1+2x)3x=limx0ln(1+2x)2x2x3x=limt0ln(1+t)t23=23

따라서, e의 정의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본 꼴을 만족하는 식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limx0ln(1+)=

limx0loga(1+)=1lna

한편, y=lnx의 역함수는 y=ex이고, 이것과 관련하여, 위의 극한에 해당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limx0ex1x=1(4)

식 (4)에서, ex1=t로 두면, x=ln(1+t)이므로, 식 (4)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limt0tln(1+t)=1

이것에서, 왼쪽 변은 식 (2)의 왼쪽 변의 역수이므로, 그의 결과, 즉 오른쪽 변도 식 (2)의 오른쪽 변의 역수, 1이어야 합니다. 또는,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으로, 식 (2)의 결과를 대입해서,

limt01ln(1+t)1t=1

마찬가지로 밑이 e가 아닌 일반적인 경우에 대해,

limx0ax1x=lna(5)

식 (5)에서, ax1=t로 치환하면, x=loga(1+t)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limt0tloga(1+t)=limt0(lna)tln(1+t)=lna

식 (4), (5)의 왼쪽 변의 극한은 부정형 00꼴이므로, 로피탈의 규칙을 적용해서 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식 (4), (5)에서, 변수의 실수배에 대한 극한

limx0e2x13x=limx0e2x12x2x3x=limt0et1t23=23

따라서, e의 정의, 또는 식 (2),(3)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본 꼴을 만족하는 식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limx0e1=

limx0a1=l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