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VMware Troubleshootings

by 다움위키 2023. 12. 24.

VMware를 사용하면서 생긴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아둡니다.

디스크 크기 줄이기

초기에는 디스크 사용량이 많지 않지만, 점점 사용함으로써, 지정된 디스크 사용량에 가까워집니다. 게스트에서 사용하면서 생긴 빈 공간을 전부 뒤로 넘겨서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Hard Disk->Compack Disk를 누르세요.

부팅 순서 바꾸기

시스템을 설치한 후에는 cd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 cd로 부팅하고 싶으면, 펌웨어에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VM->Power->Power On to Firmware

그런-다음 boot에서 순서를 바꿀 수 있습니다:

memory limit

16.1.2 버전에 8192로 설정해서 사용 중이었는데, 16.2.0에서 상당한 딜레이가 발생해서 6144로 낮추어서 사용 중입니다.

Input delay

16.2.0으로 업그레이드된 후에, 우분투 20.04에서 키보드 입력이 느리게 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것은 xog 서버로 접근할 때 발생하고, wayland로 접근하면 정상적으로 입력됩니다.

Enable 3D Hardware graphics acceleration

보통 Nvidia 그래픽 카드는 그렇지 않지만, AMD 그래픽 카드는 아래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No 3D support is available from the host The 3D features of the virtual machine will be disabled.

먼저, 3D 하드웨어 그래픽 가속이 가능한지 확인을 합니다:

  • sudo apt install mesa-utils
  • glxinfo | grep "direct rendering"

direct rendering: Yes

위와 같이 출력되면, 3D 하드웨어 그래픽 가속이 가능한 경우이므로, .vmware/preferences 파일의 맨 아래에 다음 내용을 추가해 줍니다:

mks.gl.allowBlacklistedDrivers = "TRUE"

만약 시스템에 걸쳐 추가하려면, 위 내용을 /etc/vmware/config 파일에 추가하십시오.

윈도우에서는 dxdiag를 실행해서, 3D 가속을 사용하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우분투에서는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nux-tools
  • /usr/lib/nux/unity_support_test -p

비프 음 없애기

가상 기계에서 비프음이 크게 들려서 놀랄 수 있습니다. 가상 기계에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대체로 잘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게스트에서 직접 소리를 제거해 줍니다:

vi /etc/inputrc set bell-style none을 활성화해 줍니다. 앞의 #을 제거해 주세요. 리부팅합니다.

커널 5.8

리눅스 최신 커널, 5.8 버전에서 제대로 세그폴트를 뿜으면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먼저, 패치된 모듈을 설치하시고, /usr/lib/vmware/bin/vmware로 시작하면, 실행이 됩니다.

호스트 접근

간혹 호스트의 접근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DNS를 Automatic에서 수동으로 구글 DNS로 바꾸면, 8.8.8.8, 8.8.4.4로 바꾸면 접근이 됩니다.

Netmask

넷매스크를 레벨 C에서 나누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55.255.255.0를 많이 이용하지만, 더 잘게 나눌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통신사를 이동하고 나서 vmware에서 vmnet0, vmnet8이 올라오지 않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 문제입니다.

  • ifconfig

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의 netmask를 확인합니다.

  • sudo vmware-netcfg

vmnet1 vmnet8을 선택해서, Subnet mask를 위에서 확인한 것으로 바꿉니다.

Export to OVF

간혹 VMware에 문제가 생기면, VirtualBox에서 부팅되기를 희망합니다. 이때, VirtualBox에서 인식이 되도록 변환을 해야 하는데, 변환 툴은 기본적으로 제공이 됩니다.

File -> Export to OVF... 을 선택합니다. 해당 파일이 위치할 디렉토리를 선택하고 파일이름을 결정합니다. 변환하는데, 꽤 시간이 걸립니다.

Port

설치 시에 https 포트를 필요합니다. 그러나, 443 포트를 사용할 경우에 웹서버에서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8443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것을 입력해도 Next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Back을 누른 후에 Next를 해야 해당 Next가 활성화됩니다.

만약, 이래도 활성화가 되지 않으면, 방화벽에서 8443 포트를 열어주시고 시도해 보십시오.

그리고, 902 포트도 열려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