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VMware Static IP Settings

by 다움위키 2023. 12. 24.

나날이 늘어나는 서비스들로 인해서, 시스템을 새로 설치할 경우에 해당하는 것들을 일일이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이 매우 힘듭니다. 물론 완전한 문서가 준비되어 있다면, 비교적 쉽게 해결이 될 수도 있지만, 이 문서 역시 시스템에 맞게 수정하는 것을 기억해야 하는 부담이 생깁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가상머신에서 Puppet를 통해서 설정을 하고, 가상 기계 자체를 백업해 두려는 시도를 할 예정입니다.

이때, 가상 기계과 호스트 사이에 통신을 위해, 가상 기계에서 고정 IP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다음을 확인하십시오.

호스트에서 VMware를 실행해서,

  • Edit->Virtual Network Editor를 실행하십시오. (이때 관리자(root) 패스워드가 필요합니다.)

보통 여기에 다음 3가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 vmnet0: bridged
  • vmnet1: host-only
  • vmnet8: NAT

주로 NAT를 많이 이용할 것이기 때문에, 3번째에 있는 NAT를 선택하면,

  • Subnet IP: 기존에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 Subnet mask: 기존에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 오른쪽에 NAT Settings...: 여기를 눌러서 들어가면,
  • Gateway IP: 기존에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이 값을 기억해야 합니다.
172.16.81.2

가상 기계로 들어가서, 우분투 데스트탑에서 설정합니다.

  • Settings->Netwrok->Wired
여기서 꽃 모양을 눌러서
  • IPv4 탭을 눌러서
  • Manual을 누르고
  • Addresses: 172.16.81.111 (끝 숫자는 적당히 정하십시오)
  • Netmask: 255.255.255.0
  • Gateway: 172.16.81.2 (위에서 적어둔 값)
  • 나머지는 Automatic으로 두어도 동작합니다.
  • DNS: 8.8.8.8,8.8.4.4
  • Apply를 누릅니다.
  • 꽃 무늬 앞에 연결 단자를 연결되어 있다면, 연결해제 후에 다시 연결합니다.
  • 가상 기계에서 핑이 나가는지 확인을 합니다. ping -c 3 google.com
  • 호스트에서 가상머신으로 핑이 되는지 확인을 합니다. ping -c 3 172.16.81.111

모두 작동하면,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물론 이 설정을 내부 네트워크에 주로 많이 이용하는 192.168.0.x로 바꾸어도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