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Enlightenment DR16

by 다움위키 2024. 1. 19.

간혹은 패션에서 복고풍이 유행하기도 합니다. 이런 현상은 패션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2024년 당시, 레트로(retro)라는 영어 단어를 사용하면서 컴퓨터 분야에서도 일부 복고풍이 불고 있습니다.
한편 E는 현재 0.26.0을 제공하고 있고, 이는 새롭게 라이브러리 코드가 작성되기 시작한 E17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다 보니, 그 전의 E16에 대한 약간의 향수와 복고풍의 미풍에 힘입어 e16을 사용해 보려는 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배포판, 예를 들어, 데비안에서는 이미 10년 전에 아카이브로 옮겨져서 더 이상 패키지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데비안을 기반으로 하는 배포판에서는 패키지 형태를 찾기 힘들 수 있습니다.
반면에 e16의 소스 코드 자체는 e의 git 서버에서 계속 개발되고 있어서, 여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페도라는 여전히 e16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고, 롤링 릴리스를 사용하는 아치는 aur에서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어쨌든, 이 기사는 현재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데비안에서 e16을 컴파일하고, 가능하다면 데비안에서 패키지를 제공하고, 나아가서 여러 설정을 기록해 두고자 합니다.

Installation

홈페이지 설명에 따라 e16 패키지 컴파일을 위해 다음 패키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asciidoc build-essential libimlib2-dev libpango1.0-dev libpulse-dev libsndfile1-dev libxdamage-dev libxft-dev libxinerama-dev libxrandr-dev libxcomposite-dev xmlto

그런 다음 필요한 패키지를 E의 git 서버에서 검색을 통해 다운로드하거나, sourceforge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컴파일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아래와 같이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e16
  2. e16-themes
  3. e16keyedit
  4. epplets

각 패키지를 푼 후에, 패키지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컴파일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figure --prefix=/usr/local
make
sudo make install

필요에 따라, 오류를 보고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s

DisplayManager

먼저, 데비안의 기본 디스플레이매니저는 gdm3이고, 그놈을 기본 데스크탑으로 제공하는 배포판들도 gdm을 사용합니다. 간혹은 e16이 gdm과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데비안 trixie에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페도라에서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기본 디스플레이매니저를 lightdm 등으로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lightdm
  • sudo dnf install lightdm

데비안에는 설치 마지막에 사용할 디스플레이매니저를 선택할 수 있지만, 페도라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조절해야 합니다.

  • sudo systemctl disable gdm
  • sudo systemctl enable lightdm
  • reboot

Xsession

로그인에서 세션 선택에 필요한 파일을 /usr/local 아래서는 읽지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복사를 하던지 심볼릭 링크를 걸어 두어야 합니다.

  • sudo cp /usr/local/share/xsessions/e16-session.desktop /usr/share/xsessions/

Resolution

e16이 기동된 후, 기본 테마는 winter가 사용되고, 시스템의 언어 설정에 따라 메뉴에서 한글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때, 한글 글꼴이 지정되지 않거나 등의 이유로 깨져서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가장 큰 문제는 해상도가 800x600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글씨를 알아볼 수 없어서 시스템을 사용하기에 힘듭니다. 이때, 글씨가 크게 보이도록 설정된 다른 테마를 사용해 볼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해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해상도 목록을 얻어냅니다.

  • xrandr

그런-다음 원하는 해상도를 /etc/X11/xorg.conf.d/01-Screen.conf와 같은 파일에 아래와 비슷하게 적어줄 수 있습니다. 아마도, Modes를 여러 개 적어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Section "Screen"
                Identifier "Screen0"
                Device "Card0"
                Monitor "Monitor0"
                SubSection "Display"
                        Modes "1680x1050"
                        Viewport 0 0
                        Depth 24
		EndSubSection
EndSection

E16을 재시작하거나, 시스템을 재시작해서 변경 사항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Locales

아마도 테마에 따라, 한글 글꼴이 적용되어 있지 않으면, 로케일에 따라 메뉴가 깨질 수 있습니다. 우선, C 또는 en.US로 로케일을 바꾸어서 깨진 부분이 없도록 만듭니다.

  • sudo dpkg-reconfigure locales

Font

아마도 글씨가 너무 적어서 무슨 내용인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각 테마에서 글꼴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에서 제공된 방법으로 설치했다면, 테마를 개인 사용자의 위치로 복사해 옵니다.

  • cp -a /usr/local/share/e16/themes/winter ~/.e16/themes/winter2

그런-다음 해당 위치로 이동하고 글꼴 크기를 조절합니다.

  • cd ~/.e16/themes/winter2
  • gvim fonts.theme.cfg

위 파일에서 epplet 관련된 글씨 크기는 변경하지 마시고, 나머지는, 위의 해상도 정도에서, +5 정도로 조절해 줄 수 있습니다. 기본 글꼴 크기가 12 정도입니다.

한글 입력기

한글 입력기가 동작하고 있으면, 그럴 필요가 없지만,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님프 정도에서 .xprofile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해 줍니다.

export GTK_IM_MODULE=nimf
export QT_IM_MODULE=nimf
export XMODIFIERS=@im=nimf

그런-다음 새롭게 nimf-settings를 실행해서 필요한 설정을 변경한 후에, 시스템을 재시작하시기 바랍니다.

Screensh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