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보통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가우스 함수 또는 가우스 기호는 다른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나라에서 사용하는 것과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쨌든, 자기 자신보다 크지 않은 가장 가까운 정수를 \([x]\)로 나타내는 것은, 비록 그것이 여전히 유효하긴 하지만, 좀 더 명확한 표기법으로 바꾸는 것이 좋겠습니다.
먼저, 가우스 함수는 보통 확률 분포의 가우시안 함수(Gaussian function)를, 한글로 번역할 때, 가우시안 함수보다는 가우스 함수라고 번역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가까운 정수를 의미할 때, 가우스 함수라고 말하는 것은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반면에, 가우스 기호로 불리는 \([x]\)는 "자기 자신보다 크지 않은 가장 가까운 정수"의 의미보다는 가장 가까운 정수 함수(nearest integer function)를 의미하는 것이 더 표준에 가깝습니다.
또한, "자기 자신보다 크지 않은 가장 가까운 정수"에 대한 보다 직관적인 기호는 바닥함수(floor function) \(\lfloor x \rfloor\)를 사용하는 것이고, 반대의 개념은 천장함수(ceiling function) \(\lceil x \rceil\)가 있습니다.
물론, 가우스가 \([x]\)를 "자기 자신보다 크지 않은 가장 가까운 정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했었고, 비록 그 의미로 사용한 것이 여전히 유효할지라도, 그의 의미에 대한 것을 다른 기호, 즉, 바닥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직관적이고, 반대의 개념을 나타내는 기호도 자연스럽게 존재하기 때문에, 더 이상 그런 의미로 \([x]\)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이 기호의 의미를 혼란 없이 사용하기 위해, 교과서, 모의고사, 또는 참고서 등에서 기호를 수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몰론, 바닥함수와 천장함수에 대한 기호가 컴퓨터 키보드에서 직접 입력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편집기에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