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드웨어

Xiaomi Mi Router4

by 다움위키 2023. 12. 17.

기가라이트 설치와 함께 구매를 했던 IpTIME A3004NS-BCM는 결국은 통신망 계약 기간도 채우지 못하고 사망을 했습니다. 한 달 전쯤에 전원 변환기(어댑터)가 이유 없이 사망을 해서 홈페이지에서 정품을 구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유 없이 KT 라우터와 접속 시 리셋이 불규칙으로 발생하고, CPU가 갑자기 사망하거나, 접속이 되다가 한번 연결 실패가 되면 클라이언트에서 아무리 접속을 시도해도 접속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했습니다. 결국 새로 구매한 전원 변환기까지 포함해서 십만 원 정도의 금액을 소모하고도 2년 1개월 정도밖에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전자기기의 수명이 얼마 정도인지는 생각이 다들 다를 수 있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 고장나는 것은 소위 말하는 뽑기 실패는 아닙니다. 전자기기의 짧은 수명은 잘못된 설계, 낮은 단가의 부품, 인건비 감소를 위한 급박한 제조 등이 주요 문제입니다. 물론 사용자의 잘못된 개조 등이 문제가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느려서 사용할 수 없을 정도까지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보입니다. 그래서 같은 스펙에 좀 더 비싼 기기를 구매하는 것이 안정적인 사용과 사용 기간을 보장한다고 믿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구매했던 전자기기 중에 몇 개는 불합리하게 보이는 고장이 꽤 있습니다. 이제는 같은 스펙에 금액에 비례적인 안정성은 과거형이라고 봐야 할까요?

어쨌든 이전에도 구매를 고려했던 샤오미 라우터 제품은 라우터3 였습니다. 이전에는 구매를 하지 않았던 이유는 기가 랜을 지원하지 않는 것과 2주 정도의 구매 소요시간 때문이었습니다. 새로 나온 라우터4는 기가 랜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하나의 이유는 사라졌습니다. 2018년 11월 초, 금액은 199위안이지만, 전원부 변환기를 포함하고, 배송비까지 해서 4만원이 조금 넘는 금액으로 구매를 했습니다.

디자인

샤오미 기기들의 디자인은 이뻐 보이는 것을 밴치마킹해서 만들어지다 보니, 예를 들어 애플 제품과 같은, 다른 회사의 컨셉을 가져와서 비슷하게 만들어진 것이 꽤 있습니다. 이전 버전도 충분히 이뻐 보이도록 디자인이 나왔지만, 라우터4는 가장자리를 약간 둥글게 만들어졌고, 여전히 이쁘게 디자인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연결

통신사의 공유기 단자와 샤오미 라우터의 파란색 단자(Internet이라고 적혀 있습니다)로 twisted pair를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전원부를 연결합니다.

처음에는 전면 하단부에 노란색 빛이 나오다가 연결이 되면 파란색으로 바뀝니다. 스마트폰으로 확인해 보시면, Xioami로 시작하고 Mi로그가 끝에 붙어 있는 새로운 2개의 연결 지점이 생깁니다. 먼저 2.4G로 연결합니다.

Mi Wi-Fi

만약 Mi Wi-Fi에서 메뉴를 한글로 출력되기를 원한다면, 스마트폰의 기본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해야 합니다. Mi Wi-Fi 내부에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선택하는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설정을 위해서, 플레이 스토어에서 Mi Wi-Fi를 설치합니다.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이 앱은 3개의 허가권을 제공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Settings->Installed apps에서 잘 찾아지지 않을 때에는 위 쪽의 검색창에 mi정도를 입력해서 Mi Router를 실행합니다. 여기서 App permissions를 선택합니다. 아래 허가권을 줘야 합니다.

  • Location
  • Phone
  • Storage
LocationPhone 허가권이 왜 필요한지 의문이 듭니다. 이런 허가권없이도 충분히 제어할 수 있을 텐데요. 과도한 허가권을 유도하는 앱은 다른 목적이 있는지 의심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개선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필수 허가권 중에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Grant camera permissions...가 출력이 되기 때문에, 이것은 버그로 보입니다.

어쨌든, 허가권을 주고 시작하면, 첫 화면에서

  • Create a Mi Account for free : 샤오미 계정이 없을 때 선택합니다.
  • Sign in to an existing account : 샤오미 계졍이 있을 때 선택합니다.
  • Set up a new router

샤오미 계정에 접근이 되면, 자동으로 라우터를 검색합니다. 만약 검색이 잘 되지 않으면, 폰의 홈버튼을 눌러서 Settings->WLAN에서 샤오미 라우터로 접근이 잘 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이때에는 2.4G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유기가 잡히면, 기본값으로 진행해도 별 무리 없이 라우터를 사용할 준비가 됩니다.

연결이 되면 첫 화면에는 라우터 이름이 표시되고 네트워크 속도와 접속한 기기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중요한 것은 아래쪽에 있는 메뉴 목록입니다.

  • Mi Router : 바로 전에 설명한 것이 이 화면이고, 파란색으로 표시가 됩니다.
  • Storage : 저장소가 없으므로 이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 Store : 이것도 특별히 이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 Plug-ins : 다른 모든 설정은 여기 있습니다.

Plug-ins를 누릅니다. 3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위 쪽의 아이콘이 있는 4개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Check speed: 와이파이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를 측정합니다.
  • WiFi optimization: 채널을 확인해서 연결이 많지 않은 최적의 채널로 연결을 해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 Firewall: 방화벽이 동작중입니다. 기본값으로 그냥 놔두셔도 상관없습니다.
  • Settings: 여러 가지 설정이 있습니다.
  • WiFi settings: 여기서 와이파이 이름과 암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바꾸세요.
  • Network settings: 기본값으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 Reboot router: 라우터 재시작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Storage: 이건 꺼버립니다. 뭔지 잘 모르겠네요.
  • Hardware & system:
  • LED light: 켜 둡니다.
  • Update: 안쪽으로 들어가셔서 모두 꺼버립니다. 업데이트가 있을 때 개별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십시오.
  • Reset password: 공유기 admin 암호입니다. 반드시 바꾸세요.
  • Time zone settings: Select a time zone에서 Seoul을 찾아서 선택합니다.
  • Factory data reset: 공장초기화입니다. 뭔가 문제가 생겼을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 Router configuration backups: 안으로 들어가셔서 꺼버립니다. 앱을 지우고 접근하면 자동으로 설정이 되는 것으로 판단해 보건대, 샤오미 계정에 자동으로 백업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Feedback: 개선 사항을 알려줍니다.
  • Sign out: 샤오미 계정에서 빠져나옵니다. 그냥 놔두세요.
  • Unpair the router: 라우터와 패어링을 끊습니다. 새로운 라우터를 사시면 사용할 듯합니다.
  • Share router: 라우터를 공유합니다. 뭔지 잘 모르겠지만, 특별히 사용할 일은 없어 보입니다.
  • Parental controls settings: 어떤 기기가 라우터로 접근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켜 두십시오.
  • Device daily report: 하루 동안의 정보를 보고서로 알려줍니다. 일단 켜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Notifications: 켜 두시고 어떤 메시지가 오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Do not disturb는 우선 꺼 둡니다.
  • Select region: 대한민국은 Other를 선택합니다.
  • User Experience Program: 이런 기능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About router: 라우터 정보를 보여줍니다. 여기서 펌웨어 업데이트 정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중간 부분의 Smart life를 살펴보겠습니다.

  • Device daily report...: 보고서를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 WeChat WiFi: 꺼버립니다.
  • Updates: 펌웨어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ore tools: 더 많은 설정이 있습니다.
  • Guest WiFi: 꺼버립니다.
  • Deep speed test: 할 필요 없습니다.
  • Security: 방화벽에 대한 자세한 설정입니다. 이건 판단하기 힘드네요. 중국 서버에 대한 불안감들이 있으셔서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 Photo Backup: 내부 스토리지가 없어서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것입니다??
  • QoS: 신경 쓰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 WiFi timere: 신경 쓰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 Schedule reboot: 신경쓰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 Troubleshooting: 처음 실행하면, 웹으로 연결이 되어서 정보를 가져옵니다. 그러나 중국어입니다. 꺼버립니다.
  • 한문 Hosts: 꺼버립니다.

아래쪽의 Network services를 살펴보겠습니다.

  • 한문: 꺼버립니다.
  • IPV6한문: 꺼버립니다.

Web Interface

브라우저를 열어서 웹으로는 192.168.31.1로 접근을 시도해 봅니다. 그러나 중국어로 나오기 때문에 이것은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웹으로 접근할 때,

  • username: none
  • password: admin

기타 평가

이전에 사용한 IpTIME A3004NS-BCM과 비교를 해 보겠습니다.

  • 가격: 이전 모델의 절반
  • 설정: 이전 모델은 웹으로 설정했으며, 한글을 지원하며, 스마트폰 앱이 있는지 확인해 보지 않았습니다. 앱, 웹 둘 다 지원하지만, 앱은 한글, 영어 지원하며, 반면에 웹은 한글이나 영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 와이파이 신호 범위: 공유기 위치가 동일하고 사용하는 위치가 동일할 때, 이전 기기보다 신호 강도가 더 셉니다. 더 넓은 범위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와이파이를 거실 정도에 두면, 5G에서도 50평 정도 아파트는 충분히 신호가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 USB 단자: 이전 모델은 있고, 이것은 없습니다. USB 단자가 있으면, NAS를 구성해서 외부에서 웹으로 공유가 가능합니다.
  • 기능 비교: USB 단가가 있어서 이전 모델이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속도: 이전 모델에서는 폰에서 제 것만 5G로 접속이 잘 되고, 다른 폰들은 접속이 잘 되지 않아 2.4G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5G는 거의 독점으로 저만 사용했던 것에 비추어, 샤오미 라우터4는 거의 모든 폰이 5G로 접속을 하고 있습니다. 혼자 접속했을 때에 속도는 전과 거의 동일하고, 클라이언트가 몇 개 붙으면 속도는 당연히 떨어집니다.
  • 인터넷 단자: 이전은 4개, 이것은 2개입니다. 집에 랜으로 연결할 컴퓨터가 3개 이상일 때에는 별도의 라우터나 컴퓨터 중에 무선으로 접근해야 할 경우도 생각하십시오.

저는 계약 당시에 컴퓨터 랜 선은 별도의 전화선(?)으로 연결해 줄 수 있는지 확인을 했고, 아래 허브에서 통신사 공유기와 다른 전화선(?)으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와이파이 공유기 유무와 상관없이 컴퓨터 1대는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어쨌든 천장으로 컴퓨터까지 랜선을 연결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너무 지저분해 보여요. 아니면, 직접 통신사 공유기에 물려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것도 랜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총평: 전반적으로 괜찮아 보입니다. 가성비는 어떨지 아직 판단하기 힘듭니다만, 특별한 이유 없이 고장만 안 난다면 추천해도 좋겠습니다. 샤오미 기기 중에 이유 없이 고장 난 경우는 없으므로 참고해서 판단하십시오.

1년 후의 후기

1년 조금 안되게 사용했고, 어떠한 문제도 없었습니다. 현재는 통신사 공유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잘 포장되어 다음 기회를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