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락'을 해야 하는 이유 중에 가장 큰 것은 스마트폰 메뉴를 한글로 보기 위함인데, 이 목적으로 언락은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언락이 되어 있어야 해결할 수 있다'라는 이유(감언이설)로 언락하는 분들은 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보통 언락을 하지 않으면, 언락을 해야만 풀 수 있는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언락'을 하는 다른 이유는 시스템 앱들이 너무 많은 정보를 요구하고, 정보를 주지 않는다고 설정해도 주기적으로 정보를 보낼 것인지를 물어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내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업데이트가 발생하면, 이 설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이런 것을 묻지 않는 롬을 설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주로 통신사를 통해 구매를 하게 됩니다. 이때, 주로 폰을 판매하는 매장에서 원하는 스마트폰을 정하고, 권하는 요금제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계약 기간을 2년으로 정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가격을, 주로 그 기간 동안, 할부로 납부하고 더하여 계약된 월별 통신 요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별히 계약된 내용을 위배하지 않을 때에는, 2년 동안에 내야 하는 총액이 정해집니다. 이 금액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크게 합리적인 가격이 아닙니다.
어쨌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사고 싶은데, 계약을 해야 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계약은 잘하면 이익이지만, 만약 잘할 수 없는 구조라면, 비 내리는 길을 뛰어다녀봐야 비 맞기는 마찬가지인 것처럼, 그 이익은 원래 손해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요금제가 있습니다. 이를 통칭해서 "알뜰폰 요금제"라고 많이 불려지지만, 잘못 지칭된 용어로 보이며, "자급제폰 요금제"라고 불리는 것이 더 명확합니다. 암튼 이런 복잡한 구조는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이 유리합니다.
자급제폰은 대한민국에서 판매하는 스마트폰도 가능하지만, 오히려 통신사를 통해서 살 때보다 비싸게 판매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더구나 그 가격이 원가의 몇 배에 이른다면, 무엇인지 크게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외국에서 판매하는 합리적인 가격의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로 자주 등장하는 것이 샤오미의 스마트폰들입니다. 이 기사와 관련된 샤오미 폰들은 다음과 같은 기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샤오미는 중국 회사이므로 기본으로 중국어와 영어를 지원합니다. 반면에, 주로 외국에 판매할 때에는, 글로벌롬을 탑재해서 다른 국가의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해서 제공합니다. 이러다 보니 외국에 판매하지 않는 스마트폰들은 결코 글로벌롬이 제공되지 않거나, 생각하기에 따라서, 아주 늦게 제공이 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기본적으로 로케일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글로벌롬이 없더라도 글꼴만 제공이 되면 스마트폰 내부에서 한글 표현이 가능합니다. 물론 한글을 보기 위해서는 메지시가 번역이 되어 있어야 하고, 로케일을 한국어로 바꿀 수 있어야 합니다.
한편, 앱에서는 로케일 정보를 폰(시스템)에서 지정한 것을 읽어와서 정하는 방법이 있고, 앱 내부에서 별도로 지정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물론 후자가 개발하기 좀 더 어렵고 좋은 앱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와 관련된 정보는 위의 샤오미 기기들의 기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어쨌든, 샤오미 폰들에 제공되는 롬이 글로벌롬이 아닐 경우에는 한글로 번역된 메시지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로케일(언어)을 한국어로 지정하더라도 Settings(설정) 등에서 한글을 보실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한글로 번역된 메시지를 탑재한 롬을 설치하기를 희망하는 분들이 생깁니다.
대표적으로 한글로 번역된 메시지를 갖고 있는 롬은 샤오미에서 제공하는 글로버롬과 eu 롬이 있습니다. 어쨌든, 여기서는 eu 롬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가능한 자세히 기록해 두고자 합니다.
Device Unlock
폰에 다른 롬(운영체제)을 설치하기 위해서, 부트로더 잠금을 풀어야 합니다. 그냥 영어로 읽어서 "부트로드 언락" 또는 간단히 "언락"이라고 합니다. 잠금을 풀기 위해서, 먼저 언락 신청을 해야 합니다.
또한, 신청을 하기 위해서, 샤오미 계정이 요구됩니다. 다음으로 접근해서 계정을 먼저 만듭니다.
만약 계정이 존재하거나 또는 만드셨다면, 다음으로 접근해서 신청을 합니다.
화면에 보이는 Unlock Now를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여기서는 잠금을 풀기 위한 도구를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USB debugging
잠금을 풀기 위해서 폰에서 USB debugging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보통 사용자들에게는 전혀 필요 없기 때문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를 보이게 하려면,
- Settings->My device로 접근합니다.
- All specs를 누릅니다.
- MIUI version을 7번 누릅니다.
- Settings에서 System & DEVICE 섹션에서 Additional settings를 누릅니다.
- 아래로 스크롤해서 Developer options를 누릅니다.
- 제일 위의 Developer options를 켜고, 나오는 메시지창에서 OK를 선택합니다.
- 아래로 스크롤해서 USB debugging를 켜고, 나오는 메시지창에서 OK를 누릅니다.
Add account and device
사실 새로운 폰을 이용하면, 샤오미 계정에 해당 기기가 보입니다. 이전에는 언락을 위해, 샤오미 계정에 등록된 기기는 자동으로 가능했지만, 지금은 달라져서 한번 더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 Settings->Additional->Developer options->Mi Unlock status
- Wifi를 끄고 Mobile data를 켜 주세요.
(제일 위의 오른쪽에서 와이파이 모양이 없어지고, 모바일 데이터가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십시오.)
- 맨 아래의 Add account and device를 누릅니다.
약간의 시간이 소모된 후에, 기기가 등록이 되었다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영어로 Got It이 보이면, 디바이스가 등록된 것입니다.
게다가, Got It이 안 나오더라도, 이 과정을 시도한 후에, 언락 과정 중에 디바이스가 등록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나중에 이 과정이 진행되면, 바로 언락이 됩니다. 이것은 버그로 보이는데, 시도한 적이 있으면, 그때부터 시간이 카운트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Unlock
위에서 받은 언락 툴을 풉니다.
- PowerShell에서 ./batch_unlock.exe를 실행합니다.
- 위에서 만든 계정을 입력합니다.
아무런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것입니다.
이제 스마트폰을 fastboot로 부팅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은 오른쪽 옆면에는 볼륨 업, 볼륨 다운, 파워 버튼이 있거나, 또는 긴 볼륨 버튼(위쪽이 업, 아래쪽이 다운)과 파워 약간 짧은 파워 버튼이 있습니다.
- ACCOUNTS에서 Mi Account를 누릅니다.
- 위에서 만든 샤오미 계정으로 접근합니다.
- 파워 버튼을 꾹 눌러서 Power off를 선택합니다.
- 폰이 완전히 꺼지면, 볼륨 다운을 누른 채 파워 버튼을 함께 누릅니다. 켜질 때까지 같이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 화면에 인민 토끼와 안드로이드 마스코트가 보이고 FASTBOOT가 보여야 합니다.
이제 컴퓨터로 돌아오면, 1번에 연결된 스마트폰이 보일 것입니다. 폰이 보이지 않으면, Refresh(F5)를 눌러봅니다.
- Unlock(F6)를 누릅니다.
- Message 부분에 After 168 hours of trying to unlock the device가 보일 것입니다. 7일 후에 다시 진행하십시오.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위의 과정을 진행하면, 이전에 비해 훨씬 빨리 unlock이 진행되고, 스마트폰에서 약간의 퍼센트가 진행된 후에, 리부팅이 됩니다.
언락 과정에서 스마트폰이 해당 롬의 공장초기화가 이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백업을 먼저 하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에는 미패드4로 언락을 시도했을 때, 720 시간 메시지가 나왔습니다. 이 글을 적는 중간에 잠시 Mi6를 연결해서 언락을 시도했더니, 언락이 되어 버렸습니다. :-( 아마도 언락 정책이 바뀌기 전에 언락 신청을 한 적이 있는데, 그 기기가 Mi6였나 봅니다. 초기화가 되어서 필요 없지만, eu 롬을 올렸습니다. TWRP로 가셔서 롬 설치를 해 보십시오.
Information
- 만약 FASTBOOT를 빠져나오고 싶을 때에는 파워 버튼을 화면이 꺼질 때까지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 원래 폰으로 부팅하기 위해서는 다시 파워 버튼을 부팅이 될 때까지, 30초 이상,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 중간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Current account is not bound to this device 이 메시지는 스마트폰을 해당 샤오미 계정으로 로그인하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 하나의 디바이스를 언락하고 나면, 다른 디바이스는 30일 후에 언락이 가능합니다.
Unlock Under VMware
만약 VMware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다음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 VMware 안에 윈도우 10 64비트를 설치합니다.
- VMware 설정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를 누릅니다.
- USB Controller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 윈도우 10을 부팅합니다.
-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USB로 연결합니다.
- miflash unlock을 실행합니다.
- 스마트폰을 종료합니다.
- 이때 VMware에서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 VMware 화면 오른쪽 아래의 원래 USB 아이콘이 없어지고 다른 아이콘이 생깁니다.
- 그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Connected를 선택합니다.
- 스마트폰을 fastboot로 부팅합니다.
- 이제 VMware에 나오는 2개의 메시지창을 OK를 누르면 miflash unlock의 UNLOCK가 활성화될 것입니다.
- 만약 활성화가 되지 않고, 이상한 메시지가 나오면, 전부 닫고 윈도우 10을 종료합니다.
- 이제 윈도우 10을 재시작합니다.
- 화면 아래에 USB 아이콘이 생기면, miflash unlock을 실행합니다.
TWRP installation
커스텀 롬을 설치하는 방법은 디바이스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범용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twrp를 설치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해당 기사로 이동하셔서 설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