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서버는 서버를 위한 설정을 위해 데스크탑 환경을 제외하고 패키징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같은 저장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버에 사용하는 각종 서비스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이 데스크탑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Installation
- language : English
- keyboard : Korean/Korean, Identify keyboard를 수행하면, 이 과정을 대신해 주는 데, 한글 키보드를 제대로 확인해 주는지 의문입니다.
- network : 자동으로 검색을 해 줍니다. 네트워크 본딩 과정이 있습니다.
- proxy : 없으면 그냥 넘어갑니다.
- mirror : 지정할 수 있습니다.
- partition : 기본적으로 LVM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summary : 이전 과정에서의 작업 결과를 보여줍니다.
- confirm : 다시한번 파티션의 결과를 확인합니다.
- create user : 사용자를 생성하고, 컴퓨터 이름을 지정합니다.
- ssh setup :
- fetured server snaps : 스냅 스토어에서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install and update : 클라우드도 구성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reboot 모든 업데이트가 끝났는지 확인하고 재시작합니다.
Configurations
사용자의 SSH key를 확인하고, cloud-init에서 사용할 HOST key를 만드는 것으로 보입니다.
터미널에서 확인하기 귀찮아서, 우분투 데스크탑을 올립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 sudo apt install ubuntu-desktop
- reboot
네트워크이 설정되어 있지만, 우분투 데스크탑에서 처럼, 설정에서 해당 내용을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네임서버를 바꾸고 싶을 때에는 /etc/resolv.conf에서 현재의 nameserver 위에 외부 네임서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네임서버 변경 : 위와 같은 설정 시스템 재시작 후에 없어져 버리기 때문에 다른 패키지의 도움을 받습니다:
- sudo apt install resolvconf
아래의 파일에 네임서버를 설정합니다:
- sudo nano /etc/resolvconf/resolv.conf.d/head
root 계정 활성화 : 암호를 만들면 활성화됩니다:
- sudo passwd root
시간 조정 : 설치 후에 UTC로 날짜/시간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 sudo timedatactl set-timezone Asia/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