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포판

Slackware

by 다움위키 2023. 12. 15.

Slackware는 1993년 Patrick Volkerding에 의해 만들어진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원래 Softlanding Linux System을 기반으로 하는 Slackware는 다른 많은 리눅스 배포판, 특히 수저 리눅스 배포판의 첫 번째 버전의 기반이 되었고, 여전히 유지 관리되는 가장 오래된 배포판입니다.

Slackware는 설계 안정성과 단순성을 목표로 하며 가장 "유닉스-계열" 리눅스 배포판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것은 업스트림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가능한 한 적게 수정하고 사용 사례를 예상하거나 사용자 결정을 배제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최신 리눅스 배포판과 달리, Slackware는 그래픽 설치 절차를 제공하지 않고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자동 종속성 해결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구성 및 관리를 위해 일반 텍스트 파일과 오직 소량의 쉘 스크립트를 사용합니다. 추가 수정 없이, 그것은 명령줄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부팅합니다. 많은 보수적이고 단순한 기능으로 인해, Slackware는 종종 고급 및 기술적인 성향의 리눅스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Slackware는 ARM 아키텍처에 대한 포트와 함께 IA-32x86_64 아키텍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Slackware는 대부분 자유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지만, 공식적인 버그 추적 기능이나 공개 코드 저장소가 없으며 Volkerding에서 주기적으로 릴리스를 발표합니다. 개발자를 위한 공식적인 회원 절차는 없고 Volkerding은 릴리스의 주요 기여자입니다.

Installation

미국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다른 배포판의 기반 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이 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초기 개발 당시에 약간의 인기가 있었으나, 다른 배포판도 마찬가지지만, 사용자가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되는 배포판입니다.

매체 얻기

개발자가 제공하는 미러 또는미러 목록에서 선택해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가상 기계

우분투 64비트 기반으로 만듭니다.

  • 메모리: 2G

설치 시작

부팅하면, ISOLINUX가 올라옵니다.

  • Enter 1 to select a keyboard map: 한국어 키보드 맵이 있는지 확인하기 힘들어서 us.map을 선택합니다.
  • 키보드 맵 테스트: 1을 입력합니다.
  • 로그인 화면: root를 입력합니다.
  • partitions: Cucumber_Linux를 확인하십시요.
  • setup: 설치화면으로 접근합니다.

설치를 시작합니다.

  • ADDSWAP: SWAP SPACE DETECTED, 위에서 만들었다면, 자동 검색됩니다.
  • CHECK SWAP PARTITIONS FOR BAD BLOCKS?: No를 선택합니다.
  • SWAP SPACE CONFIGURED: OK를 선택합니다.
  • Select Linux installation partition: 위에서 만들었다면, 자동 검색됩니다.
  • FORMAT PARTITION /dev/sda2: Format을 선택하고 OK를 누릅니다.
  • SELECT FILESYSTEM FOR /dev/sda2: ext4를 선택합니다.
  • DONE ADDING LINUX PARTITIONS TO /etc/fstab: OK를 선택합니다.
  • SOURCE MEDIA SELECTION: 1 Install from a Slackware CD or DVD
  • SCANNING FOR CD or DVD DRIVE: auto를 선택합니다.
  • CD or DVD를 자동 검색합니다.
  • PACKAGE SERIES SELECTION: KDEI까지 전체를 선택합니다.
  • SELECT PROMPTING MODE: full을 선택합니다.
  • Installing:
  • MAKE USE FLASH BOOT: Skip을 선택합니다.
  • INSTALL LILO: 요즘의 그럽을 사용하지 않고, 이전의 부트로더 LIL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imple를 선택합니다.
  • CONFIGURE LILO: standard를 선택합니다.
  • OPTIONAL LILO: 빈칸으로 두고 OK를 선택합니다.
  • USE UTF-8 TEXT CONSOLE?: No를 선택합니다.
  • SELECT LILO DESTINATION: MBR을 선택합니다.
  • MOUSE CONFIGURATION: imps2를 선택합니다.
  • GPM CONFIGURATION:
  • CONFIGURE NETWORK?: Yes를 선택합니다.
  • ENTER HOSTNAME: Slackware 등의 적당한 문자열을 입력합니다.
  • ENTER DOMAINNAME FOR 'Slackware': localdomain을 입력합니다.
  • CONFIGURATION TYPE FOR 'Slackware.localdomain': DHCP를 선택합니다.
  • SET DHCP HOSTNAME: 빈 칸으로 둡니다.
  • CONFIRM: Yes를 선택합니다.
  • CONFIRM STARTUP SERVICES TO RUN: rc.sshd는 제거합니다.
  • CONSOLE FONT CONFIGURATION: No를 선택합니다.
  • HARDWARE CLOCK SET TO UTC?: No를 선택합니다.
  • TIMEZONE CONFIGURATION: Asia/Seoul를 선택합니다.
  • SELECT DEFAULT WINDOW MANAGER FOR X: xinitrc.kde를 선택합니다.
  • WARNING: NO ROOT PASSWORD DETECTED: Yes를 선택합니다.
  • 루트 암호를 2번 입력하고, ↵ Enter를 누릅니다.
  • SETUP COMPLETE:
  • EXIT

Configurations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합니다.

sudo

일반 사용자를 만듭니다.

  • useradd -m -g users -G wheel,floppy,audio,video,cdrom,plugdev,power,netdev,lp,scanner -s /bin/bash user_id
  • passwd user_id

일반 사용자를 wheel 그룹에 등록하긴 했지만, /etc/sudoers에 wheel 그룹에 대한 권한은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제거해야 합니다.

시스템 업데이트

먼저 미러를 선택해야 합니다.

  • sudo nano /etc/slackpkg/mirrors

한국 미러는 없습니다. 일본 미러를 주석 해제 합니다.

  • su -

일반 사용자는 sudo 명령으로도 slackpkg를 실행할 수 없습니다.

  • slackpkg update gpg
  • slackpkg update
  • slackpkg install-new
  • slackpkg upgrade-all
  • slackpkg clean-system

과정들이 다른 배포판에 비해서 어마어마한 시간을 소모합니다.

이것저것 전부를 스크립트를 만져서 해야 합니다.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