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에서, 녹투아 NH-D15 CPU 쿨러는 이전 쿨러보다 낮은 RPM으로 동작을 합니다. 왜냐하면 이전 쿨러는 120mm 팬으로 구성된 제품이었지만, NH-D15는 140mm 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케이스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팬은 3핀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PWM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고 대체로 950을 넘어서 천에 가까운 RPM을 가지며, 이때, CPU 팬은 650 넘은 RPM에서 동작을 합니다. 또한, 시스템 팬이 950 넘는 RPM으로 동작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CPU 팬이 너무 조용해서 시끄러운 소리가 들립니다.
새롭게 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매한 녹투아 NF-S12A PWM은 4핀으로 마더보더에 연결이 되며, 온도에 따라 PWM이 잘 작동합니다. 하지만, 어느 온도를 사용하는지는 아직 정보가 없습니다.
어쨌든, 온도에 따라 PWM은 잘 작동하며, 방안 기온 20도 정도에서 550 RPM에서 동작하며, 이때, CPU 팬은 650 RPM 정도로 돌고 있습니다.
하지만, 커널을 연속으로 두 번 컴파일하니, CPU 팬은 950 RPM 정도까지 올라가지만, 케이스 팬은 거의 변화 없이 그대로입니다.
또한, NVMe/m.2 SSD는 52도까지 올랐고, CPU는 최대 57도까지 올랐습니다.
조립
시스템 팬을 바꿀 때, 첫 번째로 떠오르는 질문은 "이것을 바꾸기 위해, 먼저 설치해 놓은 마더보드를 제거해야 하는가?"일 것입니다. 이것은 시스템 팬을 마운트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이는데, 외부에서 마운트하면, 마더보드는 제거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사를 조이기 위해 특별한 공구가 없으면 마더보드를 제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설치된 섀시 팬이 바깥쪽에 나사고 보이면, 바깥쪽에서 조여서 설치하는 것으로써, 마더보드를 제거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핀으로 고정할 수도 있지만, 보드에서 지원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어떤 형태인지는 예시가 없어서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시스템 팬과 마찬가지로 나사를 이용해서 마운트했습니다.
이때, 팬에 나사산이 없기 때문에, 바로 마운트를 시도하는 것이 좋지 않습니다.
먼저, 시스템 팬은 배기 방향이므로, 팬의 네 곳 중 한 곳에 바람의 방향이 적혀 있습니다. 아마도, 팬의 중앙에 스티커가 붙어 있는 것이 대체로 바깥 방향일 것입니다.
따라서, 나사는 스티커가 있는 쪽으로 고정이 됩니다. 바닥에 스티커가 보이도록 팬을 내려놓고 나사가 수직으로 되도록 몇 바뀌 돌려서 나사산을 전부 만듭니다. 비딱하게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팬을 고정하기 전에 동봉된 3개의 케이블이 있습니다. 그중에, Low-Noise Cable을 팬의 케이블에 연결합니다. 나머지 2개는 대체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팬을 케이스에 고정할 때에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스티커가 바깥으로 가도록 마운트하는데, 이때, 케이블은 보드에 끼우지 좋은 위치에 오도록 합니다.
보통, Low-Noise Cable을 연결하지 않으면, 컴퓨터를 세웠을 때,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좋겠고, Low-Noise Cable을 연결하면, 아래쪽이 대체로 좋겠습니다.
그리고 팬 방향은 세우는 CPU 팬이 있으면, 날개가 같은 모양이 되도록 만들어 줍니다. 보통 전부 배기 방향입니다.
Troubleshooting
팬 속도 조정
이상하게도 한번 최고 속력에 도달하고 나면, 더 이상 팬 제어가 되지 않습니다. 값을 조절해서 자동 속력 조절을 가능한지 확인해 보십시오:
변수 | 값 |
/sys/class/hwmon/hwmon4/pwm2 | 70 |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channels_temp | 1 |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point1_temp | 0 |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point1_temp_hyst | -1000 |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point2_temp | 20000 |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point3_temp | 60000 |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slope | 20 |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start | 70 |
/sys/class/hwmon/hwmon4/pwm2_enable | 2 |
/sys/class/hwmon/hwmon4/pwm2_freq | 23437 |
아래와 같이 최고 속도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echo 0 | sudo tee /sys/class/hwmon/hwmon4/pwm2_enable
다음으로 1은 수동 모드입니다.
- echo 1 | sudo tee /sys/class/hwmon/hwmon4/pwm2_enable
다음으로 아래와 같이 자동 모드로 바꿀 수 있습니다:
- echo 2 | sudo tee /sys/class/hwmon/hwmon4/pwm2_enable
위와 같이 한 후에, 다음 값을 조절해야 합니다:
- echo 70 | sudo tee /sys/class/hwmon/hwmon4/pwm2_auto_start
마더보드 펌웨어 버전 등의 상황에 따라, 동작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한번 최고 속도로 올라가면, 수동 모드 외에 자동 모드로 전환하더라도 기대하는 데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만약 자동 속도 조절이 되지 않으면, 수동으로 바꾸고, 적당한 rpm으로 동작하도록 이 값으로 적어줄 수 있습니다:
- echo 120 | sudo tee /sys/class/hwmon/hwmon4/pwm2
팬이 돌지 않을 때
간혹 하나의 팬이 돌지 않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것은 기가바이트 보드에서 생기는 문제로 알려져 있으며, low-noise adapter를 사용하면 발생하는 문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CPU 팬과 다르게 섀시 팬은 온도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어댑터가 굳이 연결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제거하는 것도 충분히 고려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