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서 저 혼자서 움직이는 무엇인가를 본다는 것은, 다른 작업을 할 때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재미있는 일일 것입니다. 다행히 요즘의 컴퓨터는 연산 능력이나 기억장치가 충분하기 때문에, 이런 프로그램들을 사용해 볼만합니다. 여기서는 나니카의 일종인 ninix-aya라는 프로그램을 데비안 리눅스에 설치하는 방법과, 한글을 화면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륵쪽의 그림에서 화면의 아래쪽에서 있는 두 등장인물(강시와 여자)이 대화를 하는 듯한 분위기가 여기서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입니다.
Installation
데비안 저장소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ninix-aya
Debian bookworm
데비안 12에서, ruby3.1 이상이 설치될 전망인데, 3.0부터 ninix-aya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패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ruby2.7 버전을 잠시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curl -fsSL https://github.com/rbenv/rbenv-installer/raw/HEAD/bin/rbenv-installer | bash
- echo 'export PATH="$HOME/.rbenv/bin:$PATH"' >> ~/.bashrc
- echo 'eval "$(rbenv init -)"' >> ~/.bashrc
- source ~/.bashrc
- rbenv install -l
- rbenv install 2.7.7
- rbenv global 2.7.7
- sudo gvim /usr/games/ninix
여기서 ruby -> /home/$USER/.rbenv/shims/ruby
- ninix
이제 필요한 gem 파일을 알려줄 것입니다:
- gem install gettext
- gem install gtk3
- gem install narray
- gem install zip
마우스 클릭이 잘 되지 않으면, 풍선을 클릭한 후에 클릭해 보십시오. 또는 auto_click를 설치해 보십시오. 또는
- gem update
이렇게 하더라도, 화면을 끄고 켜면, 캐릭터가 사라지는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명령줄에서 실행하면, 원인을 알 수 있지만, 해결 방안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줄을 주석 처리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s
한글 표시
고스트, 벌룬을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일본어로 표시될 것입니다. 한글 표시를 위해, 아래 두 파일에서 CP932를 CP949로 바꾸어야 합니다:
- sudo vi /usr/lib/games/ninix-aya/ninix/dll/kawari.rb
- sudo vi /usr/lib/games/ninix-aya/ninix/dll/misaka.rb
필요한 파일들
프로그램 실행 후에 필요한 파일은 ghost, shell과 balloon입니다. 보통 고스트쉘(ghost와 shell)은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져 있고, 벌룬(balloon)은 별도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한글화가 되어 있는 고스트들은 나니코 카페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후에, Install을 눌러서 nar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들은 ninix 실행 시 console 화면에서 설치가능하고, ~/.ninix 디렉토리 아래에 설치됩니다.
몇 가지 팁
만약 내려받은 파일들의 등장인물은 마음에 드는데, 화면에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 표시하려는 고스트쉘의 ghost 디렉토리는 그냥 두고, shell 디렉토리를 삭제하고, 원하는 등장인물의 shell디렉토리를 벨로린의 디렉토리에 복사를 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풍선 도움말의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화면의 중앙 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다른 프로그램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다음의 파일의 값을 적당히 바꾸어서 실행하시면 원하는 위치에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nano ~/.ninix/ghost/mayura/shell/master/descript.txt
sakura.balloon.offsetx,0
sakura.balloon.offsety,+150
kero.balloon.offsetx,-20
kero.balloon.offsety,-50
여기서 sakura가 오른쪽 등장인물입니다. offsetx는 수평, offsety는 수직 방향을 말하고, '+'는 오른쪽이나 아래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고, '-'는 왼쪽이나 위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