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MediaWiki/Quality_of_math_output_modes
미디어위키 수식 출력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그동안 위키피디아의 기본 설정은 Mathoid와 RESTBase 서비스를 이용해서 렌더링을 수행했습니다.
하지만,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RESTBase 개발을 담담했던 분들이 재단을 떠남으로써 유지 보수의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알려져 있고, 다른 서비스로 대체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보통, 개인 사용자가 RESTBase에서 특별한 서비스를 사용할 일이 많지 않지만, 적어도 수식 출력을 위해 Mathoid를 사용할 필요는 있습니다.
물론, Extension:SimpleMathJax와 같은 대안적인 확장이 있지만, 어떤 경우에서 출력을 제대로 못하거나, 키워드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어쨌든, Extension:Math#Math output modes를 참조하고 Special:Preferences#mw-prefsection-rendering를 보면, 이용할 수 있는 출력 모드는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 기존의 Mathoid 서비스 또는 CLI 인터페이스
- Native MathML
- MathJax
한편, 이들 결과물의 품질이 궁금할 수도 있습니다.
Quality of math output modes
리눅스 파이어폭스
먼저, 기존의 Mathoid는 레이텍의 수식 출력과 매우 유사합니다. 따라서 최고의 품질을 보입니다.
게다가, 처음 CLI 인터페이스에서는 버그로 인해, 렌더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수식 출력이 꽤 있었지만, 지금은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아직은 없습니다. 이때, 수식 사용을 위해 1G 메모리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Native MathML, MathJax는 비슷한 품질을 보이기는 하지만, 여기저기에 문제점들이 있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파이어폭스
기존의 Mathoid는 서버-측에서 렌더링 후에 전송하기 때문에, 데스크탑과 차이없는 품질을 보입니다.
그러나, Native MathML, MathJax는 상대적으로 낮은 품질을 보입니다. 아직은 안드로이드에서는 많은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게다가, Mathoid 서비스를 이용할 때에는 파이어폭스 확장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확장이 먼저 동작해서 나쁜 품질을 보일 것입니다.
Difficulty of configurations
여전히 Mathoid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어렵습니다. 우선 컴파일이 되어야 동작하기 때문에, RESTBase 컴파일과 설정을 제외하고도 자체로 가장 어렵습니다.
다음으로, Native MathML은 브라우저 확장과 글꼴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일이 있습니다.
가장 쉬운 것은 아직은 코드가 완전하지는 않지만, 아무런 설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MathJax 모드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Extension:SimpleMathJax처럼 설정이 추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