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자로우(Manjaro) /mænˈdʒɑːroʊ/는 아치 리눅스(Arch Linux)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을 기반으로 하는 자유와 오픈-소스(open-source)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입니다. 맨자로우는 사용자 편의성(user friendliness)과 접근성에 중점을 가지고, 시스템 자체는 사전 설치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바로 사용하기에" 완벽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것은 롤링 릴리즈 업데이트 모델의 특색을 이루고 패키지 관리자로 팩맨(Pacman)을 사용합니다.
Installation
아치 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배포판입니다. 디스트로워치에서도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는 배포판으로 아치리눅스가 지원하지 않는 GUI 설치를 지원합니다. 설치 시에 문제가 생겼던 것은 Calamares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생기는 문제로써 메모리를 2G 이상으로 설정해야 설치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다운로드 지면에서 XFCE, KDE Plasma, GNOME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GNOME Minimal 버전을 받았습니다.
QEMU/KVM
Manjaro가 별도로 존재합니다: 메모리: 4G
설치
자동으로 부팅되면, 라이브 모드로 진입합니다. 바닥의 Manjaro Install을 시작하면, 설치 프로그램이 한글로 표시됩니다:
- 환영합니다 : 언어 설정에서, 자동으로 한국어를 찾습니다.
- 언어: 한국어를 선택하고 진행합니다.
- 위치: 자동으로 찾아줍니다.
- 지역: Asia
- 표준시간대: Seoul
- The system language will be set to English. 시스템 언어를 바꿀 수 있습니다.
- The numbers and dates locale will be set to Korean. 숫자와 날짜 로케일을 바꿀 수 있습니다.
- 키보드: 키보드 레이아웃을 바꿀 수 있습니다.
- 키보드 모델: Generic 105-key PC
- 왼쪽: Korean
- 오른쪽: Default
- 파티션:
- 디스크 지우기: 파일로 스왑으로 진행합니다.
- 사용자: 사용자 만들기
- What is your name?
- What name do you want to use to log in?: user_id
- What is the name of this computer?: hostname
- Use the same password for the administrator account: 체크(root 사용자 암호 생성)
- 요약:
- 설치: 압축 푸는 과정이 있어, 시간이 꽤 걸립니다.
- 완료: 지금 재시작.
Configurations
sudo
시스템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합니다:
- su -
- pacman -Syu
현재 사용자를 sudo 명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 pacman -S sudo
이 후에 /etc/sudoers에서 wheel 그룹에 대한 주석을 제거합니다. Manjaro 리눅스는 사용자 생성 시에 wheel 그룹에 자동으로 등록합니다. 이상하게 vi로 편집하는 wq는 read-only라는 메시지와 함께 저장이 되지 않고 w!는 저장이 됩니다.
yay 설치
매번 AUR에 있는 패키지를 찾아서 설치하기는 귀찮습니다. 이 도구가 그것을 해결해 줍니다:
- pacman -S --needed git base-devel
- git clone https://aur.archlinux.org/yay.git
- cd yay
- makepkg -si
- yay -Y --gendb
- yay -Y --devel --save
한글 입력기
이제 아래와 같이 간단히 kime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yay -S kime-git
rustup 선택
- rustup default stable
- yay -S kime-git
- cd
- nano .xprofile
export GTK_IM_MODULE=kime
export QT_IM_MODULE=kime
export XMODIFIERS=@im=kime
- mkdir -p ~/.config/kime
- cp /usr/share/doc/kime/default_config.yaml ~/.config/kime/config.yaml
- yay -S gnome-shell-extension-appindicator
- reboot
- kime-check
폰트 설치
- yay -S gvim terminus-font noto-fonts-cjk ttf-dejavu ttf-ubuntu-font-family
이전 설치에서는 이 과정으로 한글 폰트가 가독성이 좋게 표현되었지만, 새롭게 설치했을 때, 한글이 가독성이 나쁜 폰트로 연결됩니다. 확인이 필요합니다.
Resize root partition
이 작업은 ext4 루트 파티션을 btrfs으로 바꾸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기존의 파티션은 1개로 되어 있어서, 파일시스템을 전환 후에 부팅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루트 파티션을 일부 줄여서, 루트 파티션과 /boot 파티션으로 나누려고 시도해 보겠습니다.
우선, 페도라35에서, /boot 파티션은 ext4로 1G로 만들었고, 30% 정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QEMU는 파티션의 얖쪽에 데이터를 쓸 것으로 예상되어, 뒤쪽을 잘라서, /boot 파티션으로 만들려고 시도해 봅니다.
먼저, gparted iso 이미지로 부팅한 후에, resize를 통해 뒤쪽 1G를 잘라내었습니다.
이제 맨자로우로 부팅해서,
- sudo fdisk /dev/vda
뒤에 잘라낸 파티션을 /dev/vda2로 만듭니다.
- sudo mkfs.ext4 /dev/vda2
- sudo mount /dev/vda2 /mnt
- sudo cp -a /boot/* /mnt
- sudo umount /mnt
- sudo blkid /dev/vda2
- sudo nano /etc/fstab
UUID=xxx /boot ext4 defaults 0 1
- sudo grub-install /dev/vda
- sudo update-grub
Troubleshootings
conflicting files : 시스템에 설치된 파일과 충돌이 나서 설치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libc, glibc-locales에서 발생했고 아래와 같이 덮어쓸 수 있습니다.
- sudo pacman -S glibc --overwrite '*'
- sudo pacman -S glibc-locales --overwrite '*'
filezilla 문제 : 다른 시스템에 문제가 없는데, Failed to extract certificate trust path 메시지를 뿌리면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이런 PKGBUILD가 존재하지만, libfilezilla의 버전 업이 요구됩니다. 여기 정보에 따라 만들어서 컴파이할 수도 있지만, 공식 패키지에 이런 버그가 오랫동안 존재해서, 배포판 자체의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키보드 지연 현상 : 키보드 반응이 늦어서, 입력 후 잘못된 동작을 너무 자주 합니다. VMware 맨자로우 그놈에서 발생합니다.
Virtualbox crash : 리부팅 중에 크래쉬가 발생합니다.
gnome-shell 자동 업데이트 : 한글 입력기 kime의 상태 표시창을 표시하기 위해, 특정 버전의 그놈 쉘 확장을 설치해도 로그인 후에 자동 업데이트 메시지가 출력되고 로그 아웃 후에 강제 업그레이드됩니다. 공통적인 방법을 찾기가 힘들어서, ~/.config/share/gnome-shell/extension-updates 디렉토리를 chown chmod로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아 두었습니다. 알려주세요!!
Cleaning up and freeing disk space
- sudo pacman -Sc
- sudo pacman -Qdt
- sudo pacman -Rns $(pacman -Qtdq)
- sudo journalctl --vacuum-size=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