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페이지는 위키 페이지에 일부 계층 구조를 도입하며, 계층 구조의 수준은 슬래시(/)로 구분됩니다.
Where it works
미디어위키의 하위페이지 특색은 주요 이름공간에서 꺼져 있지만, 토론 페이지 및 사용자 페이지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Help:Namespaces를 참조하십시오.
이름공간의 설명에 대해 Help:Namespaces를 참조하시고 이 기본 행위를 수정하기 위한 방법을 배우기 위해 $wgNamespacesWithSubpages를 참조하십시오. 그 특색이 꺼져 있는 이름공간에서, 페이지 이름 내의 전방 슬래시 (/)는 페이지 이름의 일부이고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하위페이지가 이름공간에서 활성화될 때, 페이지 제목에서 전방 슬래시는 항상 페이지를 부분페이지로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만약 이것을 원하지 않으면, 대안적인 문자를 사용하여 부분페이지를 우회할 수 있습니다.
How it works
페이지 이름 내의 슬래시 (/)는, 재귀적으로, 페이지를 부모 페이지와 하위페이지로 나눕니다. 예를 들어:
- Help:Subpages – 이 페이지
- Help:Subpages/subpage – 자식 페이지
- Help:Subpages/subpage/sub-subpage – 손자 페이지
- Help:Subpages/subpage/sub-subpage/sub-sub-subpage – 증손자 페이지
- Help:Subpages/subpage/sub-subpage/sub-sub-subpage/sub-sub-sub-subpage – 고손자 페이지
슬래시 및 개별적인 하위페이지 이름을 포함하여 전체 이름을 제공함으로써 표준 이중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페이지의 하위페이지에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Help:Links에서 다루어지는 특정 단축키를 사용하여 한 페이지에서 자체의 하위페이지 중 하나로 링크할 수도 있습니다.
{{BASEPAGENAME}} and {{SUBPAGENAME}}와 같은 하위페이지의 이름을 분리하기 위한 마법 단어가 있고, 미세한 제어를 위해 파서 함수 {{#titleparts:}}가 있습니다.
슬래시 뒤의 페이지 이름 부분은 첫 문자를 포함하여 대소 문자를 구분한다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이동-경로 링크는 하위페이지 꼭대기에 자동으로 나타날 것이며, 존재하는 각 부모 페이지로 연결합니다. 이들 링크는, 어쨌든, 만약 부모 페이지가 아직 생성되지 않았거나 하위 페이지 특색이 꺼져 있으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들 자동 이동-경로 링크가 페이지 컨텐츠에 없기 때문에, 이동-경로는 What links here 및 Related changes 목록에 부모 페이지를 배치하지 않습니다.
만약 부모 페이지를 이동 (이름 변경)하면, 하위페이지의 목록이 표시될 것이고, move-subpages 사용자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하위페이지를 자동으로 이동하는 옵션을 가질 수 있습니다 (최대 100개).
Use of subpages
하위페이지 기능에 대해 여러 가지 사용처가 있습니다. 하위페이지의 일부 전형적인 사용법은 다음입니다:
- 토론 페이지 아래에 오래된 토론의 아카이브를 만들기 위해
- 사용자 페이지 아래에 메모-용지철 편집 공간을 만들기 위해
- 다국어 위키에서 문서의 다른-언어 버전을 만들기 위해
- 문서, 코드 샌드박스, 테스트케이스, 및 임의의 하위템플릿 코드에 대해 템플릿의 하위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하위페이지는 정보를 계층적으로 조직하는 데 유용합니다. 다른 한편, 하위페이지는 기억하기에 어려운 긴 이름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능한 적게 사용하는 것이 더 사용자-친화적일 수 있습니다. 계층적 정보 네트워크를 만드는 데 더 적합한 카테고리 특색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Displaying subpages
하위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Special:PrefixIndex를 전달-삽입함으로써 매우 명확하게 목록화될 수 있습니다:
{{Special:PrefixIndex/Help:Subpages/}}
이것을 생성합니다:
마법 단어 {{FULLPAGENAME}}는 현재 페이지를 출력하기 때문에, 현재 페이지의 모든 하위페이지를 보이기 위한 일반적인 위키 마크업은 {{Special:PrefixIndex/{{FULLPAGENAME}}/}}입니다. 역시 매개변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ecial:PrefixIndex/{{FULLPAGENAME}}/ |hideredirects=1 |stripprefix=1}}
Extension:SubPageList와 같은 하위페이지 확장은 하위페이지의 표시를 사용자-지정하는 것을 도와줍니다.
Bypass subpages using alternative characters
전방 슬래시의 중대성은 하위페이지가 활성화될 때 예약된 문자이므로, 대안적인 문자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백 슬래시 (\)는 하위페이지 이름 지정에서 보통 문자로 처리되고 전방 슬래시의 자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조잡한 해킹으로, "big solidus" (U+29F8)와 같은 전방 슬래시와 유사한 문자가 대신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Foo⧸bar (비교. 실제 슬래시: Foo/bar)를 결과로 초래하거나, solidus (U+2044)로 Foo⁄bar를 결과로 초래합니다. (실제 슬래시와 시각적 차이를 제외하고) 이 해킹에서 세 가지 가능한 기술적 단점이 발생합니다:
- 필요한 글꼴없이 사람들은 문자를 적절히 볼 수 없습니다;
- 링크 및 검색이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슬래시를 갖는 제목에서 리다이렉션이 만들어져야 합니다.
- 페이지의 주제 및 토크 버전 (및 해당하는 하위 페이지, 예를 들어, 토론 아카이브) 둘 다는, 페이지를 이동하는 것이 모든 연결된 페이지를 새 제목으로 이동하도록 (만약 해당 설정이 이동 동안 선택되면), 해킹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위페이지는 위키피디아에서 주요 이름공간에서 비활성화되어 있으므로, 하위페이지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olidus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한 토크 페이지는 작동하지 않지만, 주요 이름공간에서 해당하는 페이지는 우연히 실제 슬래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위험은 시각적 유사성이 사람 편집자에 의해 눈에 띄지 않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ee also
- Manual:$wgNamespacesWithSubpages
- m:Help:Link#Subpage feature
- Help:Variables#Page-names
- Special:PrefixIndex — Provides a list of subpages.
- w:Sub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