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간 동적 DNS 서비스로 No-I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회사에서 운영하다 보니 수시로 정책을 변경해서 갱신 날짜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갱신 스크립트를 사용해 보기도 하지만, 이런 것들은 크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크론 동작 전에 정책의 변화로 갱신 시간을 놓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몇 년 전에 한 번 갱신 날짜를 놓쳐서, 수개월, 아마도 당시에는 6개월 동안 해당 이름을 사용할 수 없었든 것으로 기억됩니다. 지금은 명시적으로 한 달 후에 다시 해당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어쨌든, 회사의 정책 변화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이런 문제가 없는 DuckDNS를 시용할 수 있습니다.
한편, 기존 사용자들이 주소 변경을 알 때까지 dawoum.ddns.net과 dawoum.duckdns.org를 동시에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해야 할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Let's Encrypt : 도메인 몇 개가 가능한지는 모르지만, 기존의 3개와 추가적은 3개로 6개를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존 서비스에서 ddns.net로 하드 코딩된 부분을 전부 duckdns.org로 바꾸어야 합니다.
먼저, 기존에 기록된 내용이 있으면, 이를 토대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ategory:Server and Security에서 설정된 서버 내용 중에서 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어쨌든, 특정 디렉토리 아래에서 해당 문구를 포함한 파일을 찾기 위해, 다음 명령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sudo grep -R 'ddns.net' *
시스템마다 다르겠지만, 다음 파일을 조사해 볼 수 있습니다:
- nginx
- 서버 설정 파일들
- pagespeed 설정
- restbase
- config.yaml
- /etc/systemd/system/restbase.service
- postfix
- main.cf
- vartual
- /etc/aliases
- /etc/mailname
- varnish
- default.vcl
- /etc/apt/source.list.d/dawoum.list
- /etc/crontab
- /etc/fail2ban/jail.local
- /etc/hosts
- /erc/rc.local
- MediaWiki
- LocalSettings.php
- 그 외 파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