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포판

DragonFly BSD

by 다움위키 2023. 12. 11.

DragonFly BSDFreeBSD 4.8에서 분기된 자유와 오픈-소스 유닉스-계열 운영 시스템입니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의 Amiga 개발자이자 1994년과 2003년 사이 FreeBSD 개발자, Matthew Dillon은 2003년 6월 DragonFly BSD 작업을 시작하고 2003년 7월 16일 FreeBSD 메일링 리스트에 발표했습니다.

Dillon은 FreeBSD 5에서 스레딩대칭 다중-처리에 채택된 기술이 성능 저하 및 유지 관리 문제를 초래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DragonFly를 시작했습니다. 그는 FreeBSD 프로젝트 내에서 이러한 예상되는 문제를 수정하려고 했습니다. 그의 아이디어 구현에 대한 다른 FreeBSD 개발자와의 갈등으로 인해, 코드베이스를 직접 변경할 수 있는 그의 능력은 결국 취소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ragonFly BSD와 FreeBSD 프로젝트는 여전히 함께 연구되며, 버그 수정, 드라이버 업데이트 및 기타 개선 사항을 공유합니다.

FreeBSD 4.x 시리즈의 논리적 연속으로 의도된, DragonFly는 경량 커널 스레드 (LWKT), 커널 내 메시지 전달 시스템, 및 HAMMER 파일 시스템을 구현하여 FreeBSD와 크게 다릅니다. 많은 디자인 개념이 AmigaOS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Installation

미국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FreeBSD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매체 얻기

디스트로와치에서 버전 번호를 눌러서 다운로드했습니다.

가상 기계

FreeBSD 기반으로 만들었습니다.

설치 시작

부팅 후에, root를 입력하고 루트 사용자로 접근합니다. installer를 입력합니다.

  • Install DragonFly BSD
  • Begin Installation: Install DragonFly BSD
  • UEFI or legacy BIOS?: Legacy BIOS
  • Select Disk: da0: 20480MB
  • How Much Disk?: Use Entire Disk
  • Are you absolutely sure?: OK
  • Information: formatted.
  • Select file system: Use HAMMER
  • Create Subpartitions: Accept and Create
  • Information: OK
  • Are you absolutely sure?: OK
  • Install OS: Begin Installing Files
  • Install Bootblock(s): Accept and Install Bootblocks
  • Information: OK
  • DragonFly BSD is Installed!: Configure this system
  • Configure an Installed System
  • Select timezone: Local or UTC: No: Asia/Seoul
  • Set date and time:
  • Set keyboard map:
  • Add a user:
  • Configure network interfaces:
  • Configure hostname and domain:
  • Set console font:
  • Set screen map:
  • Remove software packages:
  • Return to Welcome Menu: